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2025 총정리! 신청자격부터 금액까지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2025 총정리! 신청자격부터 금액까지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일상생활 및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중증장애인에게
정부가 활동지원사(요양보호사, 사회복지사 등)를 파견해 신체활동, 가사활동, 외출동행 등 전반적인 돌봄 서비스를 바우처 형태로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소득에 상관없이 신청 가능하며, 2025년 기준 최대 월 775만 원 한도까지 바우처가 지원됩니다. 신청은 주민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에서 가능하며, 이용자의 상태를 종합 평가해 구간별로 월 이용시간이 책정됩니다.



1.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란?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중증 장애인의 자립적인 일상생활과 사회참여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가 활동지원사를 파견해 신체활동, 가사활동, 사회활동 보조 등을 제공하는 바우처형 복지제도입니다.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혼자서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며,
요양보호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등 자격을 갖춘 활동지원사가 직접 가정을 방문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핵심 포인트

  • 소득수준과 무관하게 신청 가능

  • 신청자의 장애 정도와 필요에 따라 맞춤형 시간 배정

  • 국가에서 바우처 비용 지원 + 본인부담금은 최소화




2. 누가 받을 수 있나요? (지원 대상)

2025년 기준 아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신청 가능합니다.

기본 요건

  • 만 6세 이상 ~ 만 65세 미만

  • 「장애인복지법」에 따라 등록된 중증 장애인

  • 서비스 신청일 기준 연령 판단

  • 기존 수급자 중 65세 도달자는 해당 월의 다음달까지 서비스 유지 가능


예외 허용

  • 만 65세 이상으로 장기요양등급에서 탈락한 경우, 활동지원 급여를 다시 신청 가능

  • 기존 수급자였던 자가 장기요양급여 수급자가 되었다가 등급을 포기한 경우도 65세 미만이면 신청 가능


제외 대상

  • 장기요양급여를 먼저 신청하여 판정 이력이 있는 경우 활동지원급여 최초 신청 불가


📌 신청은 전국 주민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에서 가능하며, 행복e음 시스템으로 자격 조회 후 수급 여부 결정됩니다.



3. 서비스 내용: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나요?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는 다양한 일상생활 보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기본 서비스

구분주요 내용수행 인력
활동보조신체활동 보조, 가사활동, 외출 보조 등활동지원사
방문목욕특수차량 이용한 목욕 지원1급 요양보호사
방문간호의사의 지시에 따른 간호 및 요양보조방문간호사 또는 간호조무사

특별지원급여 (상황별 추가 바우처 제공)

상황추가 한도
수급자 또는 배우자 출산 시1,294,000원
시설 퇴소 후 자립 준비 중325,000원
보호자 부재 시 (결혼, 입원, 사망 등)325,000원

※ 특별지원은 상황 발생 후 지자체에 별도 신청 필요



4. 지원 금액과 월 이용시간

종합점수별 월 바우처 한도액 (2025년 기준)

등급 구간종합점수월 바우처 한도
1구간465점 이상7,754,000원
2구간435~464점7,269,000원
3구간405~434점6,785,000원
4구간375~404점6,301,000원
5구간345~374점5,816,000원
6구간315~344점5,332,000원
7구간285~314점4,845,000원
8구간255~284점4,362,000원
9구간225~254점3,878,000원
10구간195~224점3,393,000원
11구간165~194점2,909,000원
12구간135~164점2,424,000원
13구간105~134점1,940,000원
14구간75~104점1,456,000원
15구간42~74점971,000원
특례구간42점 미만 (기존 수급자)762,000원

본인부담금

  • 상한액: 월 200,200원

  • 소득 수준, 급여 구간에 따라 차등 적용

  • 납부는 무통장입금, 자동이체, 인터넷뱅킹 가능 (CMS 방식 제외)




5. 신청 방법과 절차

신청 자격자

  • 본인, 가족, 법정대리인

  • 사회복지공무원, 지자체 지정인


신청 장소

  • 주민등록지 읍·면·동 주민센터

  •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


제출 서류

  • 사회복지서비스 신청서

  •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

  • 건강보험증 사본

  • 주민등록등본

  • 본인 명의 통장 사본

  • 장애인등록증


📌 신청 후 활동지원급여 종합조사 실시, 종합점수에 따라 바우처 지원 등급 결정



6. 이용 시 주의사항 및 FAQ

Q1. 활동지원사가 가족이면 서비스 제공 가능할까요?

아니요. 배우자, 직계혈족, 형제자매는 활동지원사로 등록 가능하지만 해당 가족에게는 서비스 제공 불가입니다.

 

Q2. 활동지원사 자격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다음 중 하나 이상 충족 시 자격 보유

  • 요양보호사

  • 사회복지사

  • 간호사 또는 간호조무사

  • 교육기관 수료 및 현장실습 이수자


Q3. 장기요양등급 판정 중이면 신청할 수 있나요?

장기요양 판정 이력이 있는 경우, 활동지원급여 최초 신청은 제한됩니다.

 

Q4. 활동지원 시간은 누가 정하나요?

국민연금공단이 실시하는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 점수에 따라 월 바우처 시간 및 한도가 자동 책정됩니다.

 

Q5. 방문간호와 방문목욕은 어떻게 다르나요?

방문목욕은 전용 차량 및 장비를 통해 목욕을 지원하는 서비스이며,
방문간호는 의료지시에 따라 간호사가 방문해 진료 보조, 상처 관리 등을 수행합니다.


 

맺음말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는 단순한 복지를 넘어, 중증장애인의 삶의 질을 실질적으로 향상시켜주는 핵심 제도입니다.
경제적 부담은 줄이고, 전문 활동지원사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국가 바우처를 꼭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소득에 관계없이 누구나 신청 가능하며, 필요한 만큼 지원받을 수 있는 합리적인 복지서비스이므로
자격이 되신다면 지금 바로 주민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에 신청하세요!


관련 링크 바로가기
👉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공식 안내
👉 활동지원기관 검색 (AbleService)

다음 이전